정회원 이상 전용 게시판입니다.
  • Q: 사진 노출측정이 어려울때 쓰는 기본셋팅법. chin9 2006.01.08
  • Q: 제로보드에서 메타정보표시해주는 기능추가하기 chin9 2006.01.01
  • Q: EOS-350D 펌웨어 업그레이드하는 법 chin9 2005.06.12
  • Q: [정보] 휴대폰의 기본구조 chin9 2005.04.18
  • Q: 휴대폰_핸드폰_io단자_표준화_데이터케이블_통신케이블 chin9 2005.04.18
  • Q: 가민..mlr 마젤란 컴연결 컨넥터 결선도. chin9 2005.03.28
  • Q: 감사 감사^^ hdh33 2005.02.18
  • Q: gps 프로그램 설치건 hdh33 2005.02.17
  • Q: [re] Re..감사 감사^^ chin9 2005.02.19
  • Q: 산에서 지도 보는법 chin9 2005.02.16
    A:
    산에서 지도 보는법

    작성자 : 김요한

    독도법
    1. 지도의 정의와 지형도

    (1) 지도의 정의 : 지도는 지구 표면을 일정비율로 줄여서 약속된 기호를 사용하여 평면상에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2) 지형도 : 등산에 주로 사용되는 지도, 지표면의 모습을 등고선 도식이라는 표현법을 이용하여 투영한 지도로서 정밀한 측정에 의하여 작성된 실측도이다. 종류로는 국토 기본도로 사용되는 1:5,000지도와 등산이나 여행용으로 사용되는 1:25,000지도, 1:50,000지도의 3가지가 있다. 그리고 지형도의 발행은 국립지리원에서 한다.


    2. 지도를 보는 데 필요한 사항

    (1) 위치의 기준
    지도상에는 지구 표면의 어느 한 지점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지점을 발견하는 데 편리하도록 가로와 세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위적으로 설정한 선이 있다. 이 선을 위선과 경선이라고 한다.
    경선은 동쪽과 서쪽 즉 좌우를 가른, 세로로 그어진 선을 말하며 위선은 북쪽과 남쪽 즉 아래위를 가른 가로로 그어진 선을 말한다. 두 선은 지구상 어디에서도 공통이고 단위는 도( ), 분( ), 초( )로 되어 있으며 1 는 60 , 1 은 60 로 되어 있다.
    경선은 일명 자오선이라고 하며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기준 경선인 본초자오선을 0 로 해서 동서로 각각 180등분하여 모두 360 로 설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동경 180 와 서경180 가 만나는 360 지점이 날짜 변경선이 된다.
    위선은 적도를 중심으로 하여 남북을 각각 90등분하여 나눈 선으로 적도 북쪽을 북위, 남쪽을 남위선이라고 한다.

    (2) 높이의 기준
    높이 즉 고도(高度)란 해수기준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이것을 표고(標高), 해발(海拔) 또는 진고(眞高)라고 한다. 우리나라 높이의 기준은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을 0m로 해서 쓰고 있다. 단 제주도는 제주만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3) 방위의 지준
    방위란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을 바라다본 것을 말하며 자기의 현재위치를 찾거나 목표한 지점을 찾을 때 중요한 요소이다. 등산에 사용되는 지형도에는 360 각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원을 360등분, 북을 0 또는 360 로 규정하여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90 를 동, 190 를 남, 270 를 서로 지칭하는 방식이다.

    (4) 북쪽의 기준
    지도를 보기 위해서 알아야할 북쪽은 진북, 자북, 도북의 세 가지가 있다. 이 세 가지 북쪽의 편차각은 지형도의 난외주기에 있는 방위표에 표시되어 있다. 등산전용지도등에는 지도 내에 있다.
    1) 진북(眞北 true north)
    변하지 않는 북쪽 즉 북극성의 방향으로 지리적으로 북극이자 지리 좌표의 경도 즉 자오선이 모이는 지점이다. 기호는 별(★)로 표시된다.
    2) 자북(磁北 magnetic north)
    나침반이 가르치는 북쪽으로 북반구에서는 캐나다 북쪽 허드슨만 일대의 천연자력지대를 향하며, 기호는 반화살표로 표시한다.
    3) 도북(圖北 grid north)
    지도상의 북쪽으로 지도상의 세로선이다. 기호는 화살표(↑) 또는 GN이나 Y라는 문자로 표시한다.
    4) 편차각
    편차각이란 진북, 자북, 도북간의 편차로 진북과 도북의 차이를 도편각, 도북과 자북의 차이를 도자각(GN각), 진북과 자북의 차이를 자편각이라고 한다.
    지형도를 볼 때 중요한 것은 도북과 자북의 차이인 도자각이다. 도자각은 지역마다 약간씩 다르고 세월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한다. 우리나라의 도자각은 대체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약 5 30 에서 8 30 정도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중부지방의 경우 도자각 6 인데 이것은 자침이 지도상의 북쪽인 도북에서 서쪽으로 6 만큼 기울어져 가르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편차각은 지형도의 난외주기 편각도표에 측정연도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편차각은 매년 1 정도씩 변하기 때문에 자침편차가 표시된 연도가 현재와 가까운 것이 좋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형도는 1980년도에 측정된 자료를 쓰고 있다.

    (5) 축척(縮尺)
    축척이란 지형을 지도에 축소시켜 놓은 비율로 그 기준은 거리가 된다. 다시 말하면 지형도 위의 거리와 실제 지형 거리와의 비율이다. 따라서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거리의 비율로서 '실제거리 축척 = 지도상의 거리'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등산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도축척은 1:25,000과 1:50,000이다.


    3. 지형도를 보는데 필요한 사항

    (1) 정식(整飾)
    지형도의 이용에 필요한 사항을 지도의 테두리 즉 도곽(圖廓) 주위에 간결하게 표시한 것으로 지도의 난외주기(欄外注記)라고도 한다. 이는 지도의 사용방법을 표기한 사용설명서와 같다.

    N J 52 - 9 - 12 - 1 의정부
    ↑ ↑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① 북반구(North)
    ② 적도에서 북위 4 마다 알파벳순으로 붙인 위도구역(우리나라는 북위 33 ∼43 구역에 속함)
    ③ 경도 180선에서 동으로 6 마다 붙인 경도구역(우리나라는 52번 경도구역에 속함)
    ④ 1:250,000 지세도의 지도번호
    ⑤ 1:50,000 지형도의 지도번호
    ⑥ 1:25,000 지형도의 지도번호
    ⑦ 지도명(지명)

    (2) 지도명
    지형도의 상단 중앙에 고딕체의 한자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엽명(圖葉名) 이라고도 한다. 그 지역의 대표적 지명, 유명한 문화적 또는 지리적 지형지물의 이름을 사용하는데 보통은 그 도엽 안에 들어있는 도시나 마을의 이름을 사용한다.

    (3) 도엽번호
    도엽번호는 지형도 상부 여백 오른쪽에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국제지리학회에서 정한 만국색인 번호이기도 하다. 이 번호는 해당 지도의 고유번호로서 지형도를 구입할 때나 정리할 때 편리하게 쓰인다.

    (4) 범례(凡例)보기
    지형도의 맨 아래 왼쪽 반정도에 지도의 주요 기호가 여러 가지 색체로 표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며 사용된 색의 상징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흑색 : 문화적, 인공적인 지물
    2) 청색 : 호수, 강, 늪과 같은 수리지형
    3) 녹색 : 수림, 과수원 등 식물지형
    4) 갈색 : 기복과 고저의 지형(등고선)
    5) 적색 : 주요도로(고속도로 및 국도), 밀집된 시가지

    (5) 도엽색인도와 행정구역 색인도
    도엽색인도는 해당 지형도에 인접한 도엽명과 인접관계를 표시한 일람도로 가로, 세로 3개씩 9개를 배치하고 해당지형도를 가운데 놓았다.
    (6) 등고선(等高線 vontour)
    지형도에는 고도 및 기복을 표시하기 위하여 등고선을 이용한다. 평균해수면을 기준면 0m로 하는 해발로부터의 수직거리로 나타내며 수평곡선이라고도 한다. 등고선은 높이가 일정한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각각의 선은 높이를 나타내나 전체적으로는 지형을 표시한다. 이러한 등고선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축적에 따라 표기방법이 다르게 되어있다.

    1) 등고선의 종류
    ① 계곡선(지표등고선) : 고도 0m에서 시작하여 매 다섯 번째 등고선마다 굵은 실선으로 그려진 다. 선 중간에 고도가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어 높이를 쉽게 알 수 있다.
    ② 주곡선(중간등고선) : 계곡선 사이를 5등분한 4개의 등고선으로 계속선보다 가는 선으로 그려 져 있다.
    ③ 간곡선(보조등고선) : 경사가 완만하여 주곡 선 간격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지형의 형태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갈 색 파선으로 보통 주곡선 간격의 1/2로 표현한 다.
    ④ 조곡선(보조등고선) : 선상지 등과 같이 지형 이 완만한 곳이나 평탄지에서 작은 기복의 변화 나 형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짧 은 점선으로 간곡선 간격의 1/2로 표시하는 보 조적인 등고선이다.

    2) 등고선의 간격과 경사
    지형도에서 어떤 지점의 경사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표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따르면 등고선 간격이 0.2mm면 경사도는 64 , 0.5mm면 39 , 1mm면 22 , 2mm면 11 , 5mm면 5 , 10mm면 2.5 가 된다. 이 수치는 2만5천이나 5만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3) 등고선의 특징
    ① 등고선은 지표면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의 테 이기 때문에 반드시 폐곡선(閉曲線)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등고선이든 지도상에서 돌고 돌아 다시 원점으로 오게 된다. 한 장의 지형도에서 테두리선(도곽선)에 등고선이 끊기더라도 인접한 지형도를 연결하면 등고선은 연결된다.
    ② 등고선은 지형이 돌출 되거나 수직절벽이 아 니면 다른 등고선과 합쳐지거나 교차하지 않는 다.
    ③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경사가 급하고 넓으 면 경사가 완만하다.
    ④ 능선이나 분수령의 등고선이 높은 곳에서 낮 은 곳으로 볼록하게 뻗어나간 ∨자 또는 ∪자 형태다.
    ⑤ 하천과 계곡의 등고선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볼록하게 파고 들어간 ∧자 또는 ∩자 형태다.

    (7) 지형도를 읽을 때 유의할 점

    1) 지형도는 지표의 상황을 2만5천 또는 5만분의 1로 축소하여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지표상의 모든 것을 사실 그래도 다 표시하기 어려워 삭제되거나 생략, 과장된 부분이 있다.
    2) 지형도가 편집되고 수정되고 인쇄된 연도를 살펴야한다. 인쇄된 연도보다는 수정된 연도가 중요한데 지도의 내용은 최초 수정연도 이전의 상황이다.

    3) 인적이 드문 산악지대의 소로 등은 오랫동안 사람의 왕래가 없으면 흔적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길이 없어진다. 과거 화전민이 많던 때에 이용하던 소로가 현재의 지형도에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 가보면 흔적이 없어진 길이 많다.

    4) 지형도상에 표기된 산의 명칭이나 지형지물의 기호명칭 등이 오기 또는 누락되거나 위치가 잘못되어 있는 부분이 간혹 있다.
    4. 실거리 측정과 소요시간
    산행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일이다. 현재 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등산안내지도에는 코스구간의 소요시간이 기입되어 있어 편리하기는 하지만 이는 개인사정이나 참가자 수, 계절, 날씨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참고만 해야한다.
    소요시간은 실제거리를 측정하여 산출한다. 소요시간은 지도상의 거리를 측정한 다음 축척을 곱하고 다시 경사도와 산길의 굴곡을 감안하여 계산한다.

    지도상의 거리는 곡선이라 직선자로 측정하기는 곤란하므로 측량기구점이나 제도용품점에서 맵미터(map meter)나 커비미터(curvi meter)를 구입하여 측량한다. 가는 철사나 실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참고로 성인남자가 빈몸으로 평균경사 5 이하의 평지에서 보행할 때의 시간과 거리는 다음과 같다.
    평균경사 5 이하의 평지 1km를 걸을 때는 12∼15분이 소요되므로 시간당 4∼5km를 걸을 수 있다. 경사 5∼30 정도의 산길에서는 고도 100m를 오르는데 20∼30분이 소요되므로 1시간에 200∼300m를 오를 수 있다. 이러한 통계치를 바탕 삼아 표고차 300m를 기준으로 1시간씩 더 추가해주면 대강의 보행속도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평거리 8km, 표고차 900m를 오른다면 수평거리로는 2시간이 소요되고 포고 300m마다 1시간씩 추가되어 대략 5시간이 소요된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이것은 휴식시간이나 개인의 걸음걸이, 그리고 배낭의 무게 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달라질 수 있다.
    5. 나침반
    나침반은 방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든 기구다. 자성(磁性)을 가진 바늘이 북쪽을 향하는 성질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항상 남북을 가리킨다.
    나침반의 용도는 정확한 진행방향과 현재위치의 확인, 지형과 지도의 대조 및 정치, 거리의 측정과 자북선의 기입 등이다.
    나침반에는 군용으로 많이 쓰이는 렌즈식과 오리엔티어링(orienteering)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실바(silver)식이 있다. 과거에는 실바식을 구할 수 없어 군용의 렌즈식을 주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가볍고 뛰어난 기능을 가진 실바식 나침반이 등산용 나침반의 대명사가 되었다.

    (1) 나침반의 구조
    실바식 나침반의 구조는 크게 3부분으로 되어 있다.
    1) 자침(magnetic needle)


    나침반 속에서 360도 자유롭게 돌아가도록 사파이어 축받이 위에 얹혀있고 북쪽 자침은 빨간색으로 남쪽자침은 하얀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2) 나침반집(ring housing)
    윗부분 가장자리에 4개의 주요 방위인 동서남북이 알파벳 머리글자 E, W, S, N으로 표시되어 있고 그 사이에 20에서 340까지의 아라비아 숫자가 기록되어 있다. 아라비아숫자 사이에는 2 단위로 구분한 짧은 선이 새겨져 있다. 나침반집 바닥에는 북방 지시 화살표(orienting arrow)와 그와 평행한 북방지시 보조선(orienting lines)이 6개 그어져 있다. 자침이 들어있는 공간은 진동을 흡수하는 특수한 기름으로 채워져 있다.

    3) 밑판(base plate)
    직사각형의 투명한 밑판에는 진행선과 진행보조선이 새겨져 있다. 밑판의 긴벽 즉 세로측 좌우에는 1:50,000이나 1:25,000의 축적자가 새겨져 있으며 짧은 변인 가로측에는 위아래로 각각 밀리미터(mm)와 인치(inch)자가 새겨져 있다. 또한 조밀한 등고선이나 작은 기호 등을 판독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확대경이 붙어 있다.

    나침반은 늘 수평을 유지하고 장시간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금속물이나 전자파를 내는 전자기기 등에서 떨어져 사용해야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있다. 이렇게 해도 설악산 저항령 북쪽의 황철봉 같은 데서는 자철석이 자침에 영향을 주어 엉뚱한 방향을 가리키기도 한다.
    (2) 나침반을 사용하는 방법

    1) 자북선 기입방법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은 진북과 다르기 때문에 지도를 정확히 보려면 지형도 위에 자침 편차각에 따른 자북선을 먼저 기입하는 것이 좋다. 이는 산행을 떠나기 전 미리 해두는 것이 편리하다. 현재 편차각이 7 로 되어 있는데 설악산의 경우 자북선을 긋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지도의 방위표나 난외주기에 표시된 도자각 을 확인한다,
    ② 나침반집의 다이얼눈금을 360 에서 편차각
    7 를 뺀 353 로 조정해서 진행선에 맞춘다.
    ③ 조정된 나침반 세로측을 지도상의 경도선이 나 이와 평행 하는 테두리선(도곽선)과 나침반 바닥의 북방지시 화살표와 일치되도록 맞춘다.
    ④ 이렇게 지도상에 맞추어 놓은 나침반의 기저 판 자를 이용해 선을 그어 놓으면 7 의 편차각 을 조정하여 구한 자북선이 된다.

    2) 지도를 정확하게 놓은 법
    산행시 자신의 위치나 특정지점의 위치를 찾으려면 실제지형과 지도의 방향이 일치되어야한다. 이러한 지형과 지도의 방향일치를 지도 정치(正置)라고 하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지도를 수평으로 놓는다.
    ② 지도 위에 그어놓은 자북선에 나침반의 세로 측을 맞춘다.
    ③ 나침반이 놓여진 지도를 돌려 진행선과 북쪽 이 가르치는 자침을 일치시킨다. 이렇게 정확하 게 놓인 지도 위에서는 주위의 지형과 자신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3) 방향각 측정
    방향각이란 자신의 위치나 어느 특정지점의 방향이 북쪽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다. 이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지도상에서의 방향각 측정과 진행>
    예를 들어 전철 도봉산역에서 선인봉이 어느 방향에 있는가를 찾아보자.
    ① 지도 위에서 전철 도봉산역을 찾는다.
    ② 목표로 하는 선인봉을 찾는다.
    ③ 도봉산역과 선인봉을 나침반의 기저판 자를 이용, 직선으로 연결시킨다.(이때 나침반의 진행 선 화살표가 도봉산역에서 선인봉 쪽으로 향하 게 해야한다.)
    ④ 나침반집의 다이얼을 돌려 북방지시화살표가 미리 그어놓은 자북선과 일치 또는 평행 되게 한다.
    ⑤ 이때의 다이얼 눈금이 도봉산역에서 선인봉 의 방향각이다.
    이렇게 해서 나온 수치 즉 방향각을 따라 선인봉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향각 진행이라고 하며 그 요령은 다음과 같다.
    ⑥ 지도 위에서 측정한 방향각이 표시된 나침반 을 앞가슴에 대고 북방지시화살표와 빨간 자침 (북쪽침)이 일치하도록 몸을 돌린다.
    ⑦ 나침반의 진행선 방향으로 향해 나가면 목표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현장에서의 방위각 측정>
    현장에서의 방위각 측정이란 앞에 보이는 봉우리가 지도상의 어떤 봉우리인가를 찾는 것으로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나침반을 손에 들고 눈과 나침반의 진행선과 목표지점을 일직선상에 놓는다.
    ② 나침반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고 나침반집의 다이얼을 돌려 북방지시화살표와 북쪽침이 일치 되게 맞춘다.
    ③ 이때 나침반의 진행선 위에 눈금이 현재 위 치에서 본 목표지검의 방위각이다.
    이렇게 나타난 방위각을 지도 위에서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지도를 정확하게 놓는다.
    ② 측정된 방위각을 나침반집의 다이얼을 돌려 서 맞춘다.
    ③ 지도상에서 현재의 위치를 찾는다.
    ④ 나침반의 기저판 자를 현재 위치에 대고 나 침반 전체를 돌려 북방 지시화살표와 자침을 일 치되게 한 다음 기저판 자를 이용 직선을 긋는 다. 이때 반드시 진행선의 화살표 방향이 목표지 점 방향으로 되게 나침반이 위치해야 한다.

    <자기위치 찾기>
    앞서 언급한 방위각 측정은 지도 위에서 현재 위치를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했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지도를 볼 때 자신의 위치를 잊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악천후 등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지도 위에서 현재의 위치를 잊어버리거나 정확히 모르지만 어떤 봉우리나 지역만을 알고 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자신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① 지도를 정확히 놓는다.
    ② 정확히 알고있는 지형(봉우리, 건물)의 방위 각을 측정한다.
    ③ 나침반의 기저판을 이용 직선을 그어보면 목 표지점에서 반대방향 지점이 현재 위치다. 그러 므로 그 위에서 현재 자신이 있는 곳과 비슷한 지형을 찾아 확인한다.

    교차법이란 2군데 또는 3군데의 알고 있는 지형지물을 이용, 모르는 지형지물을 지도 위에서 착아 확인하는 방법이다. 전방교차와 후방교차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전방교차법>
    등산 중 마주 보이는 건너편 봉우리 이름을 찾을 대 흔히 쓴다.
    ① 지도를 정확히 놓는다.
    ② 알고 싶은 곳의 방위각을 측정하여 나침반의 기저판 자를 이용, 지도 위에 선을 긋는다.
    ③ 얼마쯤 이동하여 지도를 정치하고 앞서 측정 한 곳의 방위각을 다시 측정 지도 위에 직선을 긋는다.
    ④ 이런 식으로 3회 이상 방향각을 측정한다. 이 때 그어진 직선이 만나는 곳이 자신이 알고자 하는 지점이며 3회 이상 측정해도 직선이 만나 지 않을 경우는 측정방법이 틀렸기 때문이다.

    <후방교차법>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나 특정한 두지점 이상을 지도 위에서 정확히 알고 싶을 때 쓰는 방법이다.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싶을 때도 쓴다.
    ① 지도를 정확히 놓는다.
    ② 정확히 알고 있는 2개 내지 3개 지점의 방위 각을 측정하여 지도 위에 선을 긋는다.
    ③ 이렇게 그어진 2개 내지 3개의 직선이 만나 는 곳이 현재위치다.
    후방교차법은 사용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능하다면 측정목표물이 200m이내, 목표물간의 각도는 40∼120도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다.

    출처 : http://www.san114.co.kr/

  • Q: [re] Re..gps 프로그램 설치건 chin9 2005.02.17
  • Q: 가민 12xl 내부베터리에 관해. chin9 2005.01.06
  • Q: gps 제품별 2d 또는3d 되는것 구분과 트랙저장용량 chin9 2004.11.12
  • Q: 외국쇼핑몰에서 gps 구입하기 chin9 2004.10.25
  • Q: 친족계보표 - 호칭에 따른 예절 chin9 2004.09.28
  • Q: 피뢰침의 보호범위. chin9 2004.08.06
  • Q: 도스 기본명령어 chin9 2004.04.14
  • Q: Garmin 원형커넥터 결선도 chin9 2004.03.17
  • Q: 국내 DGPS 송신국 주파수 chin9 2004.03.17
  • Q: 밧데리의 이해하기 chin9 2004.02.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